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주거급여 인상

zva1 2025. 7. 9. 17:00
반응형

2025년부터 기준 중위소득과 기준 임대료가 상향 조정되면서
주거급여 수급 가구의 실수령액도 늘어납니다.
특히 월세 부담이 큰 수도권 지역은 체감 혜택이 더욱 커질 예정인데요.
이번 글에서는 2025 주거급여 인상 내용과 적용 금액, 자격 조건, 신청 팁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

1️⃣ 2025년 주거급여 인상 배경 – 중위소득 상승이 핵심

주거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48% 이하 가구에게
정부가 임차료 또는 자가 수선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
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전년 대비 평균 4.2% 인상되면서
주거급여 소득 기준이 완화되고,
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.

📌 특히 1인 가구·청년 가구의 진입장벽이 낮아졌다는 평가입니다.


2️⃣ 2025 주거급여 지원 금액 – 지역별 기준 임대료 인상 반영

지역별 기준 임대료가 평균 3~5% 인상되며,
이에 따라 지급 가능 최대 금액도 올라갑니다.

📊 1인 가구 기준 월 최대 금액(예상):

지역2024년2025년 (예상)인상률
서울 323,000원 340,000원 +5.3%
광역시 246,000원 258,000원 +4.9%
중소도시/읍면 200,000원 208,000원 +4.0%
 

💡 실제 지급 금액은 가구 수, 실제 임차료, 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.


3️⃣ 2025년 주거급여 자격 조건 – 기준 중위소득 48% 이하 적용

주거급여는 2025년부터도 기준 중위소득 48% 이하 가구가 대상입니다.

예시: 2025년 기준 중위소득 48% (월 소득 인정액)

가구원 수중위소득 48% 이하
1인 가구 약 1,010,000원 이하
2인 가구 약 1,680,000원 이하
4인 가구 약 2,580,000원 이하
 

📌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, 청년 단독가구도 신청 가능,
자가 가구는 수선비만 지원


4️⃣ 주거급여 신청 방법 –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접수

📍 신청 방법 두 가지:

  • 복지로 홈페이지 (www.bokjiro.go.kr) 온라인 신청
  •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접수

📄 필요서류:

  • 임대차계약서
  • 통장 사본
  • 가족관계증명서
  •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등

💡 신청일 기준으로 지원이 시작되니, 신청 지연 시 소급 불가합니다!


5️⃣ 주거급여 인상 관련 유의사항 – 허위 신고·중복 수급 주의

✅ 생계급여·의료급여와 중복 수급 가능
✅ 긴급복지 주거비와는 중복 제한될 수 있음
임차료 허위 신고, 타지역 거주 등은 지급 취소 및 환수 대상
✅ 자가가구는 주택 상태에 따라 경·중·대 수선 항목 차등 적용

📌 수급 후에도 주소지, 계약사항 변경 시 주민센터 신고 필수입니다.

반응형